[작성자:] chn054
개인의 정체성은 사회적인 산물
개인의 정체성은 그 자체가 사회적인 산물이다. 그러나 그것이 한 집단의 정체성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개별 정체성들이 다양한 상징’ 행위를 통해 상호 매개되어야 한다. 여기에는 의사소통, 이야기 서술, 종교적 의례, 예술적 형상화 작업 등이 포함된다. 따라서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…
Read More프로이트가 제시한 기억작업의 단계
과거의 체험 또는 대상)가 ‘상실’ 되어 현재의 나로부터 멀어져갈 때 나는 심리적인 위기를 맞는다. 일차적 기억 단계에서 나는 일단 그것의 상실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버티며 상실된 그것에 대해 나르시시즘적 동일화(Identifikation)’의 심리를 갖는다. 그러나 그것에 대한 …
Read More기억, 망각, 정체성
집단기억과 공간 및 시간 스키마 그리고 매체의 문제는 특정한 기억의 형성과 운용을 조건지우는 사회·문화·기술적 구성틀을 설명해준다. 그러나 기억을 가능하게 하는 보다 본질적인 계기가 있다. 그것은 다름 아닌 망각이다. 기억을 위한 망각의 필요성은 매우 …
Read More기억과 공간의 관련성에 대한 성찰
기억과 공간의 관련성에 대한 성찰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것은 20세 기 말엽에 이르러서였다. 삶의 안정성과 지속성에 대한 시대적 염원 이 배가될수록 기억이 안주할 수 있는 친근한 장소가 더욱 절실해졌고 이제 장소를 마련하는 일(place-making)’ 이야말로 …
Read More공간화된 시간 – 스키마의 붕괴
기억이 과거를 현재화할 수 있다면 그것은 기억이 항상 특정공간과 결부됨으로써 구체적인 모습을 띨 수 있기 때문이다. 전술하였듯 이, 모리스 알박스는 기억과 공간의 관련성에 대한 선구적인 견해를 개진한 바 있다. 상상적 공간의 이미지는 집단기억을 …
Read More